
Video 메뉴가서 Compression 클릭!

DivX 5.0.x 선택 Configure 클릭!

A. 6000으로 설정
B. 이것은 수치를 내릴수록 용량이 줄고 올릴수록 늘 어난다. 일단 700~1000으로 잡아 보면서 자신에 맞는 수치를 찾는다

A. %가 높으면 노이즈가 많이 생기므로 낮춰 준다. 0~10%로 잡아준다
B. 좋은 퀄리티를 얻기 위해서는 Slowest 로 설정.

Divx코덱창에서 확인을 누르고 File 메뉴로 가서Save as AVI 클릭!

인코딩한 파일 이름을 쓰고 저장 클릭!

대화 상자 뜨면 언제나 Yes 클릭!

지금부터 파일 생성중이지만 컴텨가 느려지지 않도록 Show input / output 체크를 빼준다.
------------------------------------------------------------------------------------------------------------------------------
1. DIVX 동영상 줄여서보자.
지금까지 VirtualDub을 이용하여 용량이 큰 DIVX 파일을 잘라보고 붙여보고 요리조리 요리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DIVX를 자른 경우에는 한편의 영화를 보기위해서 시디를 교체해야 하고, DIVX를
붙였을 때는 용량이 너무 커져서 오버버닝을 하거나 오버버닝 자체가 힘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한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DIVX의 용량을 줄이는 것입니다.

VirtualDub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신 후에 메인화면이 나왔다면 용량을 줄이고자 하는 DIVX 파일을 불러들이
기 위해 File | Open Video file...을 클릭합니다.

Open Video file 창이 열리면 DIVX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일을 열었다면 새롭게 저장하기 위한 옵션을 하나씩 챙겨야겠죠. Video |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잠깐 오늘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잘 들으셔야 합니다. 서두에서도 말씀드렸듯이 DIVX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줄인다는 것일까요 ? 바로 오디오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DIVX를 보시는 분들 중의 대부분이 아마 화질과 사운드
때문이실 겁니다. 하지만 한 장의 시디에 담기 위해서는 화질이든 사운드든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어떤 부분을 선택하시겠습니까 ? 뭐 화질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고 화질에
AC3 코덱으로 만들어진 DVIX라면 두장 이상은 감수해야 하니 한 장의 시디에 담고 그냥 영화한번 보신다고
생각하시면 사운드 쪽을 포기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렇다고 사운드의 음질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은 마세요. 사람의 귀가 그리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아주 약간정도 변경하는 것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되거든요. 각설하고 오디오 포맷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매뉴
에서 Audio | Full processing mode를 클릭합니다.

Full processing mode를 선택한 후에 Audio 매뉴를 보시면 다양한 옵션들의 선택이 가능할 겁니다.
그렇다면 Audio | Compression...을 클릭합니다.

Select auio compression 창이 열리고 왼쪽에는 다양한 오디오 코덱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코덱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으며, DIVX 코덱이 있으시다면 DIVX를 선택하시고 없으시다면
MPEG Layer-3 코덱을 선택하세요. 중요한 것은 어떠한 코덱을 선택하셨더라도 선택한 해당 코덱이
DIVX가 재생될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어야만 사운드가 나온다는 사실입니다. 뭐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돌다리도 두드리고 건너라는 말이 있죠. 자 그럼 전 MPEG Layer-3 코덱을 선택하고 샘플링 레이트는
40kBit/s,22,050Hz, Stereo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 이제 용량을 줄이기 위한 모든 옵션 설정이 끝났습니다.
메뉴에서 File | Save as AVI...를 클릭합니다.

Save AVI 2.0 File 이라는 창이 열리면 파일 이름에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을 넣으신 후에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Dub Status 창이 열리고 용량을 줄이는 작업을 진행하기 됩니다.
약 15분(시스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간의 작업이 완료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됩니다.

▲ 원본 DIVX의 파일용량 ( 791MB )

▲ 용량을 줄인 DIVX의 파일용량 ( 548MB )
그렇다면 용량을 확인해 볼까요 ? 원본 용량이 791MB였는데 548MB로 240MB정도가 줄어들었네요.
그럼 한 장의 시디에 데이터가 쏙 들어가겠죠. 자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별로 어렵지도 않은 작업을
너무 복잡하게 설명한게 아닌지 모르겠네요. 이해해 주시구요. 틀린 부분이 있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 운영자에게 메일로 테클 걸어주세요. ^^
아참 파일의 작업도중에 CPU의 사용량이 많이 질 경우 오디오 싱크가 맞지 않을 수 있으니 작업중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그 외에 여러 가지 영향으로 같은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우선은 한번 해보시구요.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되세요.
===============================================================================================================================
2. DIVX를 하나로 붙여서 보자.
당연히 합쳐진 DIVX의 용량은 당연 무시되겠죠. 얼마가 될지는 모르니깐요. 하지만 정확하지는 않지만
두 개 파일의 용량을 합한 정도라 보시면 됩니다. 그럼 어느 정도 계산이 나오겠죠.
그럼 본격적으로 나뉘어진 DIVX를 하나로 붙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VirtualDub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셨다면 붙이고자 하는 DIVX파일을 불러들이기 위해 메뉴에서
File | Open video file...을 클릭합니다.

Open video file 창이 열리면 DIVX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일이 열렸다면 이제 뒤에 붙일 파일을 불러들이기 위해 매뉴 File | Append AVI segment...를
클릭합니다.

Append AVI segment 창이 열리고 붙이고자 하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합칠 DIVX 파일을 모두 불렀다면 매뉴에서 Video |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합니다.

마찬가지로 Audio |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합니다.

모든 설정과 붙일 파일을 불러 들였다면 매뉴에서 File | Save as AVI...를 선택합니다.

Save AVI 2.0 File 창이 열리고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Dub Status 창이 열리고 파일을 붙이는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지정한 디렉토리에 지정한 파일명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합쳐진 파일의 용량은 원본의 용량보다 약 400KB 정도되는데요. 이 정도 용량은 껌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이리하여 지금까지 나뉘어진 DIVX 파일을 합쳐보았습니다.
==============================================================================================================================
3. DIVX 동영상 줄여서보자.
지금까지 VirtualDub을 이용하여 용량이 큰 DIVX 파일을 잘라보고 붙여보고 요리조리 요리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DIVX를 자른 경우에는 한편의 영화를 보기위해서 시디를 교체해야 하고, DIVX를
붙였을 때는 용량이 너무 커져서 오버버닝을 하거나 오버버닝 자체가 힘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한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 DIVX의 용량을 줄이는 것입니다.

VirtualDub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신 후에 메인화면이 나왔다면 용량을 줄이고자 하는 DIVX 파일을 불러들이
기 위해 File | Open Video file...을 클릭합니다.

Open Video file 창이 열리면 DIVX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해당 파일을 선택한 후
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파일을 열었다면 새롭게 저장하기 위한 옵션을 하나씩 챙겨야겠죠. Video | Direct stream copy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잠깐 오늘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잘 들으셔야 합니다. 서두에서도 말씀드렸듯이 DIVX의
용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줄인다는 것일까요 ? 바로 오디오 포맷을
변경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DIVX를 보시는 분들 중의 대부분이 아마 화질과 사운드
때문이실 겁니다. 하지만 한 장의 시디에 담기 위해서는 화질이든 사운드든 둘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어떤 부분을 선택하시겠습니까 ? 뭐 화질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고 화질에
AC3 코덱으로 만들어진 DVIX라면 두장 이상은 감수해야 하니 한 장의 시디에 담고 그냥 영화한번 보신다고
생각하시면 사운드 쪽을 포기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렇다고 사운드의 음질이 많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은 마세요. 사람의 귀가 그리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아주 약간정도 변경하는 것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되거든요. 각설하고 오디오 포맷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매뉴
에서 Audio | Full processing mode를 클릭합니다.

Full processing mode를 선택한 후에 Audio 매뉴를 보시면 다양한 옵션들의 선택이 가능할 겁니다.
그렇다면 Audio | Compression...을 클릭합니다.

Select auio compression 창이 열리고 왼쪽에는 다양한 오디오 코덱들의 모습이 보입니다.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코덱에 따라 많이 다를 수 있으며, DIVX 코덱이 있으시다면 DIVX를 선택하시고 없으시다면
MPEG Layer-3 코덱을 선택하세요. 중요한 것은 어떠한 코덱을 선택하셨더라도 선택한 해당 코덱이
DIVX가 재생될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어야만 사운드가 나온다는 사실입니다. 뭐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돌다리도 두드리고 건너라는 말이 있죠. 자 그럼 전 MPEG Layer-3 코덱을 선택하고 샘플링 레이트는
40kBit/s,22,050Hz, Stereo를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OK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 이제 용량을 줄이기 위한 모든 옵션 설정이 끝났습니다.
메뉴에서 File | Save as AVI...를 클릭합니다.

Save AVI 2.0 File 이라는 창이 열리면 파일 이름에 저장하고자 하는 파일명을 넣으신 후에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Dub Status 창이 열리고 용량을 줄이는 작업을 진행하기 됩니다.
약 15분(시스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간의 작업이 완료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됩니다.

▲ 원본 DIVX의 파일용량 ( 791MB )

▲ 용량을 줄인 DIVX의 파일용량 ( 548MB )
그렇다면 용량을 확인해 볼까요 ? 원본 용량이 791MB였는데 548MB로 240MB정도가 줄어들었네요.
그럼 한 장의 시디에 데이터가 쏙 들어가겠죠. 자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별로 어렵지도 않은 작업을
너무 복잡하게 설명한게 아닌지 모르겠네요. 이해해 주시구요. 틀린 부분이 있거나 수정할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 운영자에게 메일로 테클 걸어주세요. ^^
아참 파일의 작업도중에 CPU의 사용량이 많이 질 경우 오디오 싱크가 맞지 않을 수 있으니 작업중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그 외에 여러 가지 영향으로 같은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우선은 한번 해보시구요.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