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재료 성질 | |||||||||||||||||||||||
1. 인장강도, 충격강도가 높다. 5. 전기 절연성은 좋으나 고주파 절연성은 약하다. 핀 포인트 게이트의 경우는 직경이 1㎜이상이 바람직하다. | |||||||||||||||||||||||
▒ 성형성 | |||||||||||||||||||||||
1. 금형 온도는 일반적으로 60~90℃가 적당하다. 40℃ 이하의 저온에서는성형품의 광택이 현저히 저하되고, 웰드 라인도 심해지며 강도도 저하되고, 잔류 응력이 크게 되므로 피해야 한다. 2. 실린더 온도는 200 ~ 260℃가 표준이나, 230℃ 부근에서 유동성이 제일 좋다. 3. ABS는 흡습성이 있는 수지이므로 예비건조를 필요로 한다. 보통 0.2~0.45%의 흡수율을 갖고 있다. 예비건조는 열풍순환식 건조기 중에서 80℃로 4시간정도 건조시켜 수분을 0.1% 이하로 감소시킨다. 예비건조가 불충분하면 실버스트릭의 불량원인이 된다. 건조기에서 예비건조를 할 때는 ABS의 두께를 20~30㎜ 정도로 한다. 열풍순환식 건조기에 의하지 않고 호퍼드라이어에서도 예비건조가 가능하다. 4. 사출압력을 높이면 실린더온도를 내려도 성형이 가능하나, 잔류응력이 크게 된다. 특히, 도금 그레이드로 성형을 해서, 후에 도금하는 경우에는 도금의 부착강도가 떨어지므로 좋지 않다. 5. 사출속도는 처음에 느리게 하고 차차 빠르게 한다. ABS는 폴리스티렌에 비해서 유동성이 나쁘므로, 사출속도가 빠른 쪽이 좋다고 말한다. 너무 빠르게 되면 금형의 에어 벤팅이 문제로 되고, 성형품의 말단부나 웰드라인부에 공기가 타서 검게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6. 이형불량의 부분에 이형제를 사용하면 이형성은 개선된다. 7. 스크랩의 혼입은 20% 이하일 경우는 물리적 성질의 저하는 거의 없다. 그러나, 색상이 조금 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8. 성형 수축률은 0.3~0.8% 정도이다. 9. 잔류응력의 측정은 빙초산에 1~2분 담그고 나서 말리고, 백화의 유무를 보고 판단한다. 10. 풀림(어닐링: Annealing)은 열변형 온도 보다 10℃ 낮게 해서 3시간 정도 행한다. | |||||||||||||||||||||||
▒ 종류 | |||||||||||||||||||||||
1. 고 유동성(HF Grade) |
'삽질 관련 > drawing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플라스틱] 플라스틱 첨가제의 개요 (0) | 2010.01.26 |
---|---|
테프론 (0) | 2010.01.26 |
수지별 실린더온도 및 배합 (0) | 2010.01.26 |
사출금형 및 성형 용어 (0) | 2010.01.26 |
UCP600 주요개정내용 (0) | 2010.01.26 |